케이스에는 SHRH 50+ 라고만 기재되어 있었어요. SHRH이 어떤 의미인지 아무리 검색해보아도 모르겠어요...
케이스에는 작은 글씨로 UVA/UVB SUN PROTECTION 이라고 적혀있긴 하지만, UVA/UVB가 자외선 차단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걱정이 드네요...
성분표에는 징크 옥사이드, 티타늄 디옥사이드, 에틸헥실 메톡시 신나메이트가 있는걸 보니 무기+유기 차단제 (혼합 차단제)인거 같은데, 정확하게 % 로 각각의 함유율이 나와있지 않네요.
알부틴과 아데노신(맨 마지막에 위치한걸로 보아 아주 소량 들어 있는거 같아요) 이 들어있어 미백,주름 개선에도 도움되는 기능성인거 같아 쭉 사용하고 싶은데 자외선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쓰지 않으려구요...
화해라는 성분 어플에는 이 제품 설명에 SPF 50, PA +++ 라고 나와있던데 선크림 케이스 어디에도 그런말이 나와있지 않아요. SHRH 50+ 가 SPF 50, PA+++를 의미하는지 혹시 위니님은 알고 계신지 조심스레 질문드려 봅니다...!
아래에 케이스 사진이랑 성분표 사진 같이 첨부했어요!
첫번째로 "USDA 유기농인증" 과 자외선 차단능력은 하등의 상관관계가 없구요
SPF, PA 지수가 안나와있다고 하셨는데 밑의 사진이 그걸 잘 설명하고 있네요.
"미백,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" 이라고만 씌여져있죠? "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" 이라고는 안되어있잖아요?
대한민국에는 3가지 기능성 화장품이 있습니다. 표시되지 않는 그 하나가 "자외선차단기능성 화장품' 이예요. 그게 인증되지 않으면 SPF 도 PA도 붙일 수 없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이 제품에는 SHRH 라는 애매한 표시를 한거예요. 아마 SPF 50+ 라는 표시를하고싶었지만 "법적으로" 할 수 없으니 그렇게 표시한것이겠죠.
화해라는 어플에서 사용된것은 어차피 그곳이 화장품 쇼핑몰도, 제조사 홈피도 아닌 애매한 위치에 있다보니 쓰고싶은대로 마음대로 쓴것이구요.
성분상으로는 물 다음 성분으로 자외선 차단성분이 망라되어있으니 SPF 50 도 가/능/하/긴/합/니/다. % 가 안나와있으니 확인할 방도는 없구요.
하지만 결론은 이 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는 제조사/판매사에서만 주장하는 것일뿐 미국 FDA 도 한국 식약청도 인정한 것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.